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청년층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도입된 청년도약계좌에 반가운 소식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을 기점으로 다양한 혜택과 유연성이 확대될 예정이어서 많은 청년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부분 인출' 허용과 '정부 기여금 확대'는 청년도약계좌의 매력을 한층 더 높이는 핵심적인 변화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1. 드디어! 청년도약계좌 부분 인출 가능!
가장 먼저 주목할 만한 변화는 바로 청년도약계좌의 부분 인출이 가능해졌다는 점입니다. 이는 청년들이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자금이 급하게 필요할 때, 소중하게 모은 자산을 깨지 않고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부분 인출의 시작
- 부분 인출 서비스는 청년도약계좌가 도입된 지 2주년을 기념하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새롭게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는 기존에 중도 해지 외에는 자금을 인출할 방법이 없던 청년도약계좌의 큰 단점을 보완하여, 청년들의 자산 형성 과정에서의 실질적인 부담을 덜어주고자 하는 취지에서 마련되었습니다.
- 인출 가능 시점 및 한도
- 계좌 가입 기간이 2년 이상 경과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납입금액의 최대 40%까지 부분 인출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2년간 월 70만 원씩 꾸준히 납입하여 1,680만 원을 모았다면, 이 중 40%인 672만 원까지 필요한 자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다만, 인출 가능 금액은 개인의 총 납입액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서민금융진흥원 등 관련 기관에서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도입 2주년…납입액 부분인출 가능해져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청년도약계좌 가입 기간 2년이 지나면 납입금액의 40%까지 부분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www.yna.co.kr
2. 2025년부터 확대되는 청년도약계좌 혜택!
부분 인출 외에도 2025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의 전반적인 혜택이 더욱 강화됩니다. 특히 정부 기여금 지원 방식과 중도 해지 시 혜택이 개선되어 청년도약계좌의 매력이 한층 더 상승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정부 기여금 확대
-
예시
개인소득(총급여 기준) 2,400만 원 이하인 경우를 예로 들면, 기존에는 월 70만 원 납입 시 매칭 한도인 40만 원까지만 기여금이 지급(매칭 비율 6.0%)되어 월 2.4만 원의 기여금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2025년부터는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매칭 한도 확대 구간(월 40~70만 원)에 기여금이 3.0%로 매칭 지급되어 기존 2.4만 원에 0.9만 원(30만 원 × 3.0%)이 증가한 월 3.3만 원의 기여금을 받게 됩니다. 이로 인해 만기 시 수령하는 금액이 최대 60만 원까지 증가하며, 일반 적금 상품 기준으로 기존 연 최대 8.87%의 수익 효과에서 향후 연 최대 9.54%의 수익 효과까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025년 1월 납입분부터 정부 기여금이 확대 적용될 예정입니다. 이는 신규 가입자뿐만 아니라 기존 가입자에게도 적용되어, 모든 소득 구간에서 매칭 한도(월 40·50·60만 원)를 납입 한도(월 70만 원)까지 확대하고, 기존 대비 매칭 한도가 확대된 구간에는 매칭 비율 3.0%를 적용한 기여금을 지급합니다.
- 중도 해지 시 혜택 강화
- 조세특례제한법 개정(2025년 1월 1일 시행) 등에 따라, 3년 이상만 가입을 유지하면 부득이하게 중도 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정부 기여금을 일부(60%) 지원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중도 해지에 대한 부담을 크게 줄여, 청년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변화입니다. 이 경우 3년 유지 시 일반 적금 상품 기준으로 연 최대 7.64%의 수익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보도자료 - 위원회 소식 - 알림마당 - 금융위원회
’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됩니다. ’24년 한 해 동안 106만 명 신규 가입, ’24년말 기준 누적 157만 명 가입 ’25년 1월 납입분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지원 수준 확대 적
www.fsc.go.kr
2025년 1월부터 청년도약계좌 기여금이 확대됩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청년도약계좌에 106만 명의 청년이 신규 가입하여, 2024년 말까지 누적 157만 명이 가입...
blog.naver.com
요약
이처럼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는 부분 인출 허용과 더불어 정부 기여금 확대, 중도 해지 시 혜택 강화 등 다방면으로 개선될 예정입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청년들이 재정적인 유연성을 확보하고, 보다 안정적인 환경에서 장기적인 자산 형성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든든하게 지원할 것입니다. 이번 정책 변화를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성공적인 자립 기반을 마련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